top of page
기술과 감성이 만나는 미래 퓨트리움

사이브라(Cyabra)의 특화된 기술력: 작동 원리와 실제 솔루션 반영

  • 작성자 사진: FUTRIUM
    FUTRIUM
  • 9월 23일
  • 4분 분량

디지털 정보 환경이 점점 복잡해지는 가운데, 단순히 “많은 데이터를 본다”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중요한 것은 누가, 어떻게, 어떤 콘텐츠를 통해 조작을 하는지를 정교하게 식별하고 대응하는 기술입니다. 사이브라(Cyabra)는 이런 요구 속에서 뛰어난 기술적 역량을 갖추고 있으며, 그 기술성이 실제 솔루션에 구체적으로 반영되어 여러 분야에서 효과를 발휘했습니다. 이번 글에서 사이브라의 주요 기술력들, 그 원리, 그리고 솔루션에의 반영 방식들을 정리하겠습니다.


ree

주요 기술 요소들과 작동 원리


사이브라(Cyabra)의 기술력은 여러 가지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크게 아래 항목들이 핵심입니다.

기술 요소

작동 원리

Actors-Behavior-Content (ABC) 접근법

‘Actors’는 정보를 퍼뜨리는 주체(가짜 계정, 봇, impersonator 등), ‘Behavior’는 이들이 어떤 방식으로 행동하는지(자동화 또는 수동 포스팅, 상호작용 방식, 댓글/리트윗 패턴 등), ‘Content’는 실제 내용(텍스트, 이미지, 영상, 딥페이크, 생성형 AI 콘텐츠 등)입니다. 사이브라는 이 세 요소를 종합해, 각각의 요소에서 이상 징후(signals)를 탐지하고 상호 작용(interaction)을 분석함으로써 조작 가능성이 있는 활동을 식별합니다.

자연어 처리(NLP, Named Entity Recognition 등) 및 감성 분석(Sentiment Analysis)

게시글이나 댓글의 문장 구성, 단어 선택, 문체의 특이성 등을 분석하여 허위 정보 또는 조작된 여론을 유발할 가능성 있는 콘텐츠를 탐색합니다. 또한 감성 분석을 통해 부정적/극단 감성(extreme sentiment) 혹은 논쟁을 조장하는 문장 등을 조기에 탐지합니다. 명사, 인물, 기관명 등의 엔티티를 추출해 신뢰할 수 있는 출처와 비교하거나 사실관계 확인 가능성 등을 판단합니다.

딥페이크(Deepfake) 및 생성형 AI(GenAI) 콘텐츠 탐지

이미지 및 영상 매체에서 픽셀 단위, 움직임(motion), 동기화(lip-sync) 불일치 등을 탐지하는 모델을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사이브라는 ‘PixelProof’ (이미지)와 ‘MotionProof’ (영상)과 같은 독자적(proprietary) 모델을 통해 영상 및 이미지의 미세한 조작 여부를 판단합니다. 또한 GenAI를 활용하여 가짜 프로필 사진, 가짜 이름, 만들어진 콘텐츠 등을 생성하는 행위를 탐지하는 기술이 포함됩니다.

실시간 모니터링, 경고(Alerting), 시각화(Viz) 도구

대량의 소셜 미디어 데이터, 뉴스 미디어 데이터를 24/7 수집하고, 이상 패턴(bots, coordinated amplification 등)이 나타나면 자동으로 알림을 제공합니다. 또한 데이터를 사용자가 이해하기 쉬운 형태(트렌드 차트, 해시태그별 활동, 지리적/연령/커뮤니티적 분포, 공유 패턴 등)로 시각화하여, 브랜드/기관이 빠르게 대응 전략을 세울 수 있게 돕습니다. 사이브라의 ‘Insights’ 기능이 대표적이며, 복잡한 데이터를 요약하여 “무엇이 문제인지”, “누가 개입했는지”, “어디서 확산되고 있는지”를 직관적으로 보여줍니다.

확장성과 다언어, 다플랫폼 대응

여러 소셜 미디어 플랫폼(Facebook, Twitter/X, Instagram, TikTok 등) 및 뉴스 사이트들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100개 이상의 언어 처리가 가능한 NLP 모델을 사용합니다. 또한 API / SaaS / 알림(Alerts) / 매니지드 서비스 형태 등 다양한 제공 방식으로 고객의 규모나 필요에 맞게 솔루션을 맞춤화할 수 있게 설계되어 있습니다.


ree

기술이 솔루션에 반영된 모습


다음은 위 기술 원리들이 실제로 사이브라(Cyabra)의 솔루션에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그리고 사용자/고객이 어떤 혜택을 얻었는지에 대한 사례들입니다.


1. Insights 기능: 복잡한 데이터 → 직관적 결과

  • 작동 원리 반영: NLP + 행위(behavior) 및 콘텐츠 분석 + 시각화 도구

  • 설명: 사이브라는 Insights 기능을 통해 방대한 소셜미디어 대화, 뉴스 미디어 언급, 키워드·해시태그 트렌드 및 감성 변화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사용자에게 보기 쉬운 시각적 대시보드와 Q&A 형식의 결과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누가 이 여론을 조작하는가?”, “어떤 해시태그가 빠르게 확산되는가?”, “어디 지역/세대에서 반응이 많은가?” 등의 질문에 대해 명확한 시각적 결과와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Cyabra

  • 효과: 분석에 소요되는 시간과 전문가 인력 부담이 크게 줄었고, 브랜드/공공기관 사용자는 위기 초기 대응 시간을 단축하였으며, 여론의 조작 여부를 사전에 판단하여 대응 전략을 우선순위로 세울 수 있었습니다.


2. Deepfake Detection Tool: 시청각 조작 방어

  • 작동 원리 반영: 이미지/영상용 전용 모델(PixelProof, MotionProof) + 행동 및 콘텐츠 분석 + 실시간 감지

  • 설명: 사이브라는 Deepfake Detection Tool을 출시하여, 영상 속 작은 픽셀 왜곡, 움직임 불일치, 입 모양(lip-sync) 또는 음성 영상 간 불일치 등을 탐색하는 기술을 사용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해당 콘텐츠가 얼마나 빠르게 여러 플랫폼에서 퍼지는지 추적하고, 관련 계정들이 봇인지 혹은 조작된 네트워크인지까지 조사합니다. CDP Institute -+2Cyabra+2

  • 효과: 브랜드 및 기관은 조작된 영상 콘텐츠가 퍼지기 전에 경고를 받고, 허위 주장(false claims)이나 이미지 조작(image manipulation)에 대해 대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딥페이크가 포함된 위협 캠페인의 전체적인 구조를 이해할 수 있게 됨으로써 대응 전략을 종합적으로 세울 수 있었습니다.


3. GenAI 및 봇 계정 자동화 탐지

  • 작동 원리 반영: ABC 접근법 + 머신러닝 기반 행동 패턴 탐지 + 생성형 AI 콘텐츠 생성 탐지

  • 설명: 사이브라는 GenAI가 조작 행위자(actor)와 콘텐츠(content)의 퀄리티를 높이는 데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분석했습니다. 봇 계정이 보다 자연스럽게 보이도록 만들어지는 특징(프로필 이미지, 활동 이력, 게시물 스타일 등)들을 모델이 학습하여, 전형적인 봇/가짜 계정과 진짜 계정을 구분합니다. 또한 GenAI가 생성한 텍스트·이미지·영상 콘텐츠를 다른 정상 콘텐츠와 비교해 비정상적 특성(예: 문장 구조, 스타일 이상, 반복 패턴, 어색한 이름이나 가짜 인물 묘사 등)을 탐지합니다. Cyabra+2Cyabra+2

  • 효과: 여론 조작 캠페인들이 훨씬 정교해지고 많아졌음에도 불구하고, 사이브라의 고객들은 이러한 정교한 조작들을 조기에 발견하여 브랜드 평판 훼손이나 여론 왜곡을 예방할 수 있었습니다.


4. 행동 및 내러티브 추적 및 확산 패턴 분석

  • 작동 원리 반영: 행동(Behavior) 패턴 탐지 + 콘텐츠 확산 경로 탐지 + 내러티브 분석

  • 설명: 사이브라는 게시글이 어떻게 퍼지는지, 동일 내용이 여러 플랫폼에 동시에 나타나는지, 혹은 유사한 사용자 그룹이 반복적으로 공유/댓글/리트윗을 하는지를 감지합니다. 또한 토픽(topic)/해시태그/내러티브(narrative)가 어떤 슬림 커뮤니티(small communities)나 인플루언서(influencer) 네트워크를 통해 확산되는지, 어떠한 감성(sentiment)이 사용되는지 등을 분석합니다. 예컨대, 딥페이크 콘텐츠가 처음 유포된 곳, 어떤 계정들이 이를 재생산하는지, 얼마나 빠르게 다른 플랫폼으로 퍼지는지 등을 시각적으로 보여줍니다. 당장 위협이 커질 가능성이 있는 부분들을 조기에 포착할 수 있게 됩니다.


사이브라(Cyabra)의 기술력은 단순히 “허위 정보가 있다/없다”를 알려주는 수준을 넘어, 조작 행위자, 행동 유형, 콘텐츠 특성 세 부분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분석해 위협을 식별하고 대응하게 합니다. 실시간 모니터링, 시각화, 딥페이크 탐지, GenAI 탐지 등이 결합되어 기업이나 공공기관이 조기에 전략을 세울 수 있도록 돕습니다.


이러한 기술들은 앞으로도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우리가 디지털 공간에서 진실을 지켜내기 위해서는, 기술의 정확성과 신뢰성, 그리고 속도가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으며, 사이브라(Cyabra)는 그 기준을 높이는 선두 주자입니다.

댓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