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trium Pulse | 현실을 다시 그리는 고정밀 지도 전쟁
- FUTRIUM

- 7월 27일
- 3분 분량
최종 수정일: 8월 2일
2025.07.25ㅣFutrium Horizonsㅣ산업 주도권 경쟁 (GeoTech Economy)
![고정밀 지도 데이터 (HD Map) [출처: NAVER LABS_Youtube]](https://static.wixstatic.com/media/77f602_a32c9603eb024e6ea222da5582e009c7~mv2.png/v1/fill/w_980,h_543,al_c,q_90,usm_0.66_1.00_0.01,enc_avif,quality_auto/77f602_a32c9603eb024e6ea222da5582e009c7~mv2.png)
우리가 알고 있는 ‘지도’는 더 이상 평면적인 길 안내 도구가 아니다. 오늘날의 지도는 현실을 디지털로 복제하고, 그 복제된 공간 위에서 기술이 작동하는 감각의 인프라가 되었다.
최근 주목받고 있는 핵심은 바로 ‘고정밀 지도 데이터(HD Map)’이다. 이 지도는 기존 2D 지도보다 수십 배 더 정밀하며, 일반적으로 1~5cm 단위의 공간 정밀도를 갖는다.이는 자율주행 차량용 지도의 국제적 기술 기준에 부합하는 수치이며, 차선의 곡률, 경사, 연석의 위치 등까지 디지털로 구현할 수 있다.
What we once knew as a "map" is no longer just a flat tool for navigation. Today’s maps digitally replicate the physical world, becoming a sensory infrastructure where technology operates within these mirrored spaces. At the center of this transformation is the emergence of high-definition (HD) map data. Unlike traditional 2D maps, HD maps are exponentially more precise, typically offering spatial accuracy within 1 to 5 centimeters. This level of precision aligns with international technical standards for autonomous driving, allowing for the digital rendering of details such as lane curvature, gradients, and even curb positions.
📌 자료 기반 분석: 국토지리정보원, HERE Technologies, NAVER랩스 기술백서
1. M1|Autonomous Mapping Robot for Naver Labs
![Naver Labs의 자율주행 실내 매핑 로봇 M1 : HD 지도 수집의 핵심 장비 [출처: NAVER LABS]](https://static.wixstatic.com/media/77f602_aba7d68041f54a75a5f24e4aa6e6db8b~mv2.png/v1/fill/w_980,h_926,al_c,q_90,usm_0.66_1.00_0.01,enc_avif,quality_auto/77f602_aba7d68041f54a75a5f24e4aa6e6db8b~mv2.png)
2. Visual Localization & AR
3. Disital Twin by NAVER
국내 기업들 역시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AR 기반 내비게이션, 실내 공간 추적 기술, 로봇 배송 인프라 구축 등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대표적으로 네이버랩스는 AR 기반 실내 내비게이션(AIM)을 상용화하고 있으며, TMAP은 고정밀 위치 기반 경로 기술을 AI로 자동 구축하는 프로젝트를 운영 중이다.이러한 기술은 GPS 신호가 도달하지 않는 공간에서도 건물 내 층수, 방향,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정확히 안내할 수 있다.
Korean companies are also actively keeping pace with this trend by developing AR-based navigation, indoor tracking technologies, and infrastructure for robotic delivery.
A notable example is NAVER Labs, which has commercialized AIM—an AR-based indoor navigation system. Similarly, TMAP is operating a project that uses AI to automatically generate high-precision, location-based routing technology.
These technologies enable accurate guidance within spaces where GPS signals cannot reach, including directions across floors, orientation, and precise routes to indoor destinations.
📌 자료 기반 분석: NAVER Labs ‘AIM’ 실증 리포트 / TMAP 모빌리티 맵컨텐츠팀 발표자료
고정밀 지도 기술은 단순히 국내 산업에만 머물지 않는다. 구글은 2016년부터 한국 정부에 고정밀 지도 데이터의 해외 반출 허용을 공식 요청해 왔으며, 애플 또한 글로벌 지도 시스템의 고도화 과정에서 한국 내 상세지도 확보에 관심을 보인 바 있다. 하지만 대한민국 정부는 이를 국가 전략 자산으로 분류, 군사·보안상의 이유로 반출을 제한하고 있다.
High-definition mapping technology is not confined to domestic industries alone. Since 2016, Google has formally requested permission from the South Korean government to export HD map data abroad. Apple has also expressed interest in acquiring detailed mapping data within Korea as part of its efforts to enhance its global mapping systems. However, the South Korean government classifies such data as a strategic national asset and restricts its export due to military and security concerns.
📌 정책 기준 설명: 국토교통부 공간정보관리법, 2023 공간정보산업협회 브리핑
이는 단순한 기술 경쟁을 넘어, 디지털 영토와 공간 주권에 관한 문제로 확장되고 있다. 정밀한 지도는 더 이상 위치를 보여주는 도구가 아니라, 도시 운영의 좌표, 기술 플랫폼의 작동 기반, 그리고 현실의 감각적 재구성을 가능케 하는 설계 언어가 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퓨트리움(FUTRIUM)의 생각은 고정밀 지도 기술을 단순한 공간 데이터가 아닌,**존재를 정의하고 경험을 조율하는 ‘감각의 설계도’**로 본다. 기술은 그 위에 인간의 삶을 조용히 덧입히며, 우리가 마주하는 현실을 다시 그려나가고 있다.
This goes beyond a mere race in technology—it is evolving into a matter of digital territory and spatial sovereignty. Precision maps are no longer just tools for displaying locations; they have become the coordinates for urban operation, the foundation for technological platforms, and a design language that enables the sensory reconstruction of reality.
In this context, Futrium views high-definition mapping technology not simply as spatial data, but as a “sensory blueprint” that defines existence and orchestrates experience. Technology, layered quietly over it, redraws the contours of the world we inhabit, gently weaving human life into the fabric of reality.
© 2025 FUTRIUM



댓글